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setParameter
- @NotEmpty
- @Spring
- java
- BubbleSorting
- Linux
- designpattern
- createQuery
- 쉬운 계단 수
- junit
- mycp
- 자바
- @ModelAttribute
- 점세개
- 10951
- springboot
- 10844
- 데코레이터패턴
- gradle
- 여러인수
- 숫자야구
- NamedParameterNotBound
- 백준
- Spring
- 디자인패턴
- pscp
- 자료구조
- decorator
- C
- 전치행렬 #C
- Today
- Total
목록C (3)
...

Make 도구는 리눅스에서 여러 파일들을 관리 해주는 도구이다. 이를 이용함으로써 개발자는 여러 파일들을 쉽게 묶을 수 있고, 반복되는 컴파일을 자동화 할 수 있으며, 모듈화 프로그래밍을 쉽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제 Make 도구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예시를 살펴 보도록 한다. 정말정말 간단한 계산 프로그램을 구현 하도록 한다. add/ sub 두 가지 연산을 모듈화 프로그래밍을 통해 Makefile을 이용해 구현해 볼 것이다. 일단 헤더 파일과 헤더 파일의 메소드를 구현한 공용 C파일 하나를 구현해 주었다. 이 두 파일은 Add 프로그램에도 이용되고, Sub 프로그램에도 이용될 것이다. //Header.h #ifndef MAKEHEADER_H #define MAKEHEADER_H void P..

버블 정렬이란, 인접한 두 원소를 비교하여 정렬하는 알고리즘이다. 매우 단순하고 간단한 방식이지만, 시간 복잡도가 커 효율이 좋지는 않다. 그림과 같이, 인접한 두 개를 비교한다. 그리고 둘 중 더 작은 수를 왼쪽으로 정렬한다. 위와 같이 1차 작업이 끝나면 처음부터 다시 작업을 반복한다. 모든 수가 정렬될 때까지 작업은 반복적으로 계속된다. 버블 정렬 Code 화질 구지 오바다...

희소 행렬이란, 행렬의 대부분이 0을 가리키는 행렬이다. 희소 행렬의 경우 배열의 크기가 커질 수록 0이 차지하는 메모리가 많아지기 때문에 메모리의 낭비가 매우 심하다. 따라서 희소 행렬에서 0이 아닌 원소들만 따로 배열로 만들어서 정리할 수 있다. 좌측의 이미지가 바로 희소 행렬이다. 6X6 크기의 행렬에 대부분이 0으로 이루어져 있어 메모리의 낭비가 심하다. 따라서 우측과 같은 형태로 배열을 정리해주는 것이다. 쉽게 말하자면 핵심을 압축한 새로운 행렬을 만드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우측 행렬의 행 부분은 좌측 행렬의 0이 아닌 원소의 개수와 같다. 우측 행렬의 열 부분은 차례로 0이 아닌 원소들의 행 인덱스 / 열 인덱스 / value 값이다. 즉 원래 행렬에서 0이 아닌 값들의 위치와 값을 [n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