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gradle
- 10844
- 숫자야구
- 백준
- @Spring
- junit
- 점세개
- BubbleSorting
- mycp
- 디자인패턴
- 자료구조
- pscp
- 쉬운 계단 수
- @ModelAttribute
- Spring
- designpattern
- 데코레이터패턴
- 여러인수
- NamedParameterNotBound
- java
- 자바
- Linux
- C
- springboot
- createQuery
- 전치행렬 #C
- decorator
- @NotEmpty
- 10951
- setParameter
- Today
- Total
목록자바 (3)
...
/*주문 생성*/ public static Order createOrder(Member member,Delivery delivery, OrderItem...orderItems){ Order order = new Order(); order.setMember(member); order.setDelivery(delivery); order.setStatus(OrderStatus.ORDER); order.setOrderdate(LocalDateTime.now()); for (OrderItem orderItem : orderItems) order.addOrderItem(orderItem); return order; } 메소드 createOrder()에서 OrderItem...orderItems 의 ... 문법 ->..

하나도 안 쉬운 계단 수 문제 DP 너무너무 어려움 ㅜㅜㅜㅜㅜㅜㅜㅜ 눈물 난다요 배열들의 규칙을 찾아내는 요령이 아직 부족한 것 같다 많이 풀어봐야 될 듯 Dynamic Programming 의 Bottom - Up 방식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였다. 가장 먼저 규칙을 살펴 보아야 한다. 행 부분은 N, 즉 길이를 의미하고 열 부분은 계단수의 마지막 수를 의미한다. 첫번째 행을 보면, 길이가 1이기 때문에 가장 앞자리에 올 수 없는 0을 제외하고 1개씩 수가 존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두번째 행을 보면, 길이가 2이기 때문에 가장 마지막에 모든 숫자가 올 수 있다. [2][2] 라는 자리의 뜻은, 길이가 2이며 마지막에 2가 오는 수, 즉 12와 32를 뜻한다. 이는 첫번째 행의 [1][1]과 [1][..

데코레이터 패턴이란 , 주어진 상황 및 용도에 따라 어떤 객체에 책임을 덧붙이는 패턴으로, 기능 확장이 필요할 때 서브클래싱 대신 쓸 수 있는 유연한 대안이 될 수 있다. [위키 백과] 쉽게 정리하면, 기본 객체에 추가적인 기능을 유연하게 첨가하는 패턴이다. 기본 객체를 변경 없이 기본 객체를 꾸며주는 것이다. [ 데코레이터 패턴의 장점 ] [1] 위임을 통해 새로운 행동을 유연하게 추가할 수 있다. [2] 기존 코드의 수정 없이도 손쉽게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 피자를 한 번 생각해보자. 피자 도우가 있다고 하자. 피자의 도우는 기본 객체가 된다. 그리고 이 위에 여러 개의 토핑들을 추가할 것이다. 토핑은 기능이라고 생각하자. 피자의 도우 위에 사용자가 추가로 하는 토핑들을 차례로 얹을 것이다. 페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