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백준
- 자바
- BubbleSorting
- pscp
- springboot
- setParameter
- 전치행렬 #C
- 여러인수
- mycp
- C
- @NotEmpty
- createQuery
- 쉬운 계단 수
- @ModelAttribute
- 자료구조
- designpattern
- java
- Spring
- 디자인패턴
- gradle
- Linux
- 10951
- 숫자야구
- decorator
- @Spring
- junit
- 10844
- 데코레이터패턴
- 점세개
- NamedParameterNotBound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희소행렬 (1)
...

희소 행렬이란, 행렬의 대부분이 0을 가리키는 행렬이다. 희소 행렬의 경우 배열의 크기가 커질 수록 0이 차지하는 메모리가 많아지기 때문에 메모리의 낭비가 매우 심하다. 따라서 희소 행렬에서 0이 아닌 원소들만 따로 배열로 만들어서 정리할 수 있다. 좌측의 이미지가 바로 희소 행렬이다. 6X6 크기의 행렬에 대부분이 0으로 이루어져 있어 메모리의 낭비가 심하다. 따라서 우측과 같은 형태로 배열을 정리해주는 것이다. 쉽게 말하자면 핵심을 압축한 새로운 행렬을 만드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우측 행렬의 행 부분은 좌측 행렬의 0이 아닌 원소의 개수와 같다. 우측 행렬의 열 부분은 차례로 0이 아닌 원소들의 행 인덱스 / 열 인덱스 / value 값이다. 즉 원래 행렬에서 0이 아닌 값들의 위치와 값을 [num..
CS/자료구조
2021. 11. 2. 16:56